<a href="https://gurumet.co.kr/supreme/"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supreme" id="goodLink" class="seo-link">supreme</a>파란색 고래 한 마리가 전 세계에 충격파를 날렸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딥시크(Deepseek)’. 2023년 7월 설립된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데요.
갑자기 모두 딥시크 얘기만 하면서, 엔비디아는 물론 국내 반도체주 주가까지 급락했죠. 대체로 이런 반응입니다.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중국 AI가 미친 가성비로 전 세계를 뒤흔들었다.’
<a href="https://gurumet.co.kr/supreme/"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수프림" id="goodLink" class="seo-link">수프림</a>그런데 알아두실 게 두가지 있습니다. ①딥시크는 갑자기 튀어나온 게 아닙니다. 단지 세계가 뒤늦게 알아준 것뿐이지요. ②중국엔 딥시크 말고도 쟁쟁한 AI 기업이 치열하게 경쟁 중입니다. 딥시크만 경계한다고 될 일이 아니란 뜻이죠. 오늘은 우리가 알아야 할 중국 AI 기업을 들여다보겠습니다.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이다.”(벤처투자가 마크 앤드리슨)
“(AI 기업에 과도하게 투자한) 일부 벤처캐피털엔 멸종 수준의 사건이다”(악시오스 기자 댄 프라이맥)
“엔지니어들이 딥시크를 미친 듯이 분석하고, 가능한 모든 것을 복사하려고 노력 중이다.”(메타 직원이 팀블라인드에 올린 글)
1월 20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출시한 최신 AI 모델 ‘R1’에 대한 반응입니다. 성능은 현재 업계 최고라 할 수 있는 미국 오픈AI의 o1 공식 버전과 비슷한데, 훈련 비용은 557만6000달러(78억원)만 들었다고 공개한 게 충격이었죠. 일반적인 대규모언어모델(LLM)의 훈련비용은 수억 달러로 추정됩니다. 즉, 이 설명대로라면 100분의 1로 비용을 낮췄단 뜻인 거죠. 딥시크 설명에 따르면 훈련에는 엔비디아 <a href="https://gurumet.co.kr" target=_blank" rel="noopener dofollow" title="슈프림스투시" id="goodLink" class="seo-link">슈프림스투시</a>H800 GPU가 쓰였습니다. H800은 미국의 수출 규제(2022년 8월)로 H100의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그보다 사양을 낮춰 중국 본토용으로 출시한 버전이죠.
|